이 강의는 Linkedin learning의 Logic Pro Essential Training를 요약하였다.
영어+번역기로 용어사용이 일관되지 않거나 틀린 경우와 내용을 잘못 이해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어레인지먼트 기능을 이용하여 곡의 진행 형태를 빠르게 변경한다.
대체 트랙을 활용하여 작업 내용을 비교해 본다.
코드 트랙을 이용해 프로젝트에 사용할 코드 진행을 미리 가늠해 볼 수 있다.

04 - Arranging with the Arrangement track

어레인지먼트(원형을 유지하면서 다른 형태로 만들기)

더보기

음악에서 인트로(Intro), 벌스(Verse), 그리고 브릿지(Bridge) 같은 어레인지먼트 요소를 구분하는 방법은 주로 곡의 구조, 멜로디, 코드 진행, 그리고 감정적 흐름을 기준으로 이루어집니다. 각 부분이 특정한 역할을 가지고 있어서, 이를 파악하면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인트로 (Intro)

역할: 곡의 도입부로, 분위기를 설정하고 청중의 관심을 끄는 역할을 합니다.

특징: 간결하고, 주요 악기나 테마를 미리 보여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 가사나 멜로디 없이 악기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템포나 리듬을 제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시: 대부분의 곡에서 인트로는 4-8마디 정도로 짧고, 노래의 분위기를 미리 알려줍니다.

2. 벌스 (Verse)

역할: 이야기(가사)를 전달하는 주요 부분입니다. 곡의 전개를 이끌며, 보통 가사가 다르게 반복됩니다.

특징: 가사는 곡의 이야기나 주제를 설명하고, 보통 후렴구(Chorus)보다 덜 강렬한 멜로디를 사용합니다. 벌스는 곡의 가장 큰 부분 중 하나이며, 반복될 때마다 가사가 바뀌지만 멜로디는 유지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시: 벌스는 보통 곡의 전반부나 중간부에서 후렴구로 이어지는 구조를 가집니다.

3. 브릿지 (Bridge)

역할: 곡의 새로운 전환점으로, 감정적 또는 음악적 클라이맥스를 준비하거나 새로운 변화를 주는 역할을 합니다.

특징: 벌스나 후렴과는 다른 코드 진행이나 멜로디가 사용되며, 곡의 후반부에서 변화를 주어 청중에게 신선한 느낌을 줍니다. 곡의 감정적인 변화를 이끌거나 전환점 역할을 합니다.

예시: 브릿지는 보통 후렴이 반복되기 전에 위치하며, 곡의 마지막 클라이맥스로 이어지게 만듭니다

 

추가 구분 팁:

인트로는 주로 악기 위주, 벌스는 이야기를 전달, 브리지는 새로운 감정을 주입하는 부분으로 생각하면 구분이 쉽습니다.

코드 진행: 벌스와 후렴은 비슷한 진행을 가지지만, 브릿지는 이를 깨고 새로운 전환을 시도합니다.

멜로디와 리듬: 벌스와 후렴은 보통 반복적이고 귀에 익숙한 멜로디, 브리지는 독창적이고 예측하기 어려운 멜로디가 많습니다.

이렇게 각 요소의 역할과 음악적 특징을 통해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후렴 (Chorus)

역할: 곡의 핵심 메시지나 테마를 강조하며, 청중에게 가장 기억에 남는 부분을 제공합니다.

특징: 보통 반복적으로 등장하며, 멜로디와 리듬이 강렬하고 캐치프레이즈 같은 가사를 사용합니다. 벌스보다 더 에너지 넘치고 감정적으로 강한 경우가 많습니다.

예시: "Let It Be"의 후렴 부분이나 "Shape of You"의 반복되는 코러스가 이에 해당합니다.

2. 프리코러스 (Pre-Chorus)

역할: 벌스와 후렴 사이의 다리 역할을 하며, 후렴으로의 전환을 매끄럽게 만들어줍니다.

특징: 후렴과 벌스의 차이를 만들기 위해 멜로디나 리듬에 변화를 주며, 긴장감을 조성하여 후렴의 임팩트를 강화합니다.

예시: 많은 팝 곡에서 벌스 후에 짧게 등장하여 후렴으로 이어지는 부분이 프리코러스입니다.

3. 아웃트로 (Outro)

역할: 곡을 마무리하며 청중에게 여운을 남기는 역할을 합니다.

특징: 인트로와 유사하게 간결할 수 있으며, 곡의 주요 테마를 반복하거나 서서히 페이드 아웃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시: "Hey Jude"의 반복되는 마무리 부분이나 "Bohemian Rhapsody"의 서서히 사라지는 피아노 연주가 아웃트로에 해당합니다.

4. 인스트루멘털 (Instrumental)

역할: 보컬 없이 악기 연주만으로 이루어진 부분으로, 곡에 다양성과 변화를 추가합니다.

특징: 솔로 연주, 리프 반복, 즉흥 연주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곡의 분위기를 전환하거나 감정을 고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예시: 기타 솔로가 있는 록 곡이나 재즈 곡의 즉흥 연주 부분 등이 인스트루멘털에 해당합니다.

5. 프렐류드 (Prelude)

역할: 곡의 도입부로, 인트로와 유사하지만 종종 더 복잡한 멜로디나 화성을 포함합니다.

특징: 클래식 음악에서 많이 사용되며, 분위기를 설정하거나 주제를 소개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시: 클래식 곡의 서곡 부분이나 일부 현대 곡에서 복잡한 도입부로 사용됩니다.

6. 코러스 (Coda)

역할: 곡의 최종 부분으로, 전체를 요약하거나 마무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특징: 종종 반복적이거나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구조를 가지며, 곡의 결말을 강조합니다.

예시: "Stairway to Heaven"의 마지막 부분이나 "November Rain"의 점진적인 마무리 등이 코러스에 해당합니다.

7. 간주 (Interlude)

역할: 벌스와 벌스, 혹은 벌스와 후렴 사이에 삽입되는 짧은 연주나 음향 효과로, 곡의 흐름을 부드럽게 이어줍니다.

특징: 짧고 간결하며, 보통 보컬이 없거나 최소한의 보컬을 포함합니다.

예시: "Smells Like Teen Spirit"의 기타 간주 부분이나 다양한 힙합 곡에서의 비트 전환 등이 간주에 해당합니다.

8. 리프 (Riff)

역할: 곡 전체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짧은 멜로디나 리듬 패턴으로, 곡의 특징적인 요소를 형성합니다.

특징: 기타, 베이스, 피아노 등 다양한 악기로 연주될 수 있으며, 곡의 아이덴티티를 부여합니다.

예시: "Smoke on the Water"의 기타 리프나 "Satisfaction"의 반복적인 리듬 패턴이 이에 해당합니다.

 

추가 구분 팁:

구조 이해: 곡의 전체 구조를 이해하면 각 요소의 역할을 파악하기 쉬워집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팝 곡 구조는 인트로 → 벌스 → 프리코러스 → 후렴 → 벌스 → 프리코러스 → 후렴 → 브리지 → 후렴 → 아웃트로와 같은 형태를 가집니다.

감정적 흐름: 각 어레인지먼트 요소는 곡의 감정적 흐름을 이끌어갑니다. 어떤 부분에서는 에너지를 높이고, 다른 부분에서는 감정을 안정시키는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반복과 변화: 반복되는 요소(예: 후렴)와 변화되는 요소(예: 브릿지)를 잘 조합하면 곡에 긴장감과 흥미를 더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어레인지먼트 요소들을 이해하고 적절히 활용하면, 보다 풍부하고 다채로운 음악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 트랙버튼 click

+ 버튼을 클릭하면 로직이 분석하여 마디에 맞춰 어레인지 블록이 자동 생성된다.

자동으로 생성되지만 정확하지 않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고 이름을 변경한다.어레인지먼트를 완성한다.

여기서 프로젝트를 다른 버전으로 수정하고 비교하고 싶을 때는

new alternative 명령을 이용한다. + 이름 지정한다.

코러스 1,2의 위치를 바꾸고 싶다면

어레인지먼트 블록을 드래그로 이동시켜서 위치를 변경한다.

블록에 해당한 트랙의 리전이 모두 이동한다.

이런 방법으로 빠르게 곡의 형태를 수정할 수 있다.

완벽하게 정렬 되지 않기 때문에 트랙의 리전의 세부 수정이 필요할 수 있다.

수정한 내용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원본 프로젝트로 돌아갈 수 있고

alternative 프로젝트가 여러개라면

불필요한 프로젝트를 삭제하여 관리할 수 있다.

 

마커와 어레인지먼트

마커를 추가하고 이름을 붙일 수 있다.

이 메뉴를 이용하면 마커를 기준으로 어레인지먼트가 수정된다.

이 메뉴는 어레인지먼트를 기준으로 마커가 변경된다.

 

05 - Using Chord tracks

코드 트랙 사용하기

코드 트랙을 통해서 프로젝트의 사용할 코드 진행을 작성해 본다.

현재 눈금자 영역에 코드가 표시된다. 글로벌 트랙 버튼을 통해서 코드트랙을 연다.

메뉴에서 여는 방법

코드 추가 버튼 - 블록이 추가된다. 추가된 코드에 따라 세션 트랙에 연주가 변경된다.

코드 설정 창이 열리고 편집이 가능하다.

코드 진행을 미리 준비된 프리셋을 통해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코드 일부를 더블 클릭하여 선택, 다시 더블 클릭하여 편집 창을 연다.

베이스 노트의 코드까지 설정이 가능하다.

설정한 코드 미리 듣기 버튼이 하단에 있다.

코드 그룹을 개별 코드 단위로 분리할 수 있다.

분리된 코드를 다시 한 블록으로 그룹화하기

코드 리듬을 반으로 줄이거나(코드 블록의 코드가 반으로)

두배로 하는 설정(코드 블록의 코드가 두 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