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강의는 Linkedin learning의 Logic Pro Essential Training를 요약하였다.
영어+번역기로 용어사용이 일관되지 않거나 틀린 경우와 내용을 잘못 이해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서브믹스를 이용해 드럼의 구성요소 일부만 소리를 바꾸는 방법을 배운다.
두 개 이상의 트랙을 하나의 제어장치로 리버브를 조절하는 방법을 배운다.
크로마버브를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리버브 효과를 확인하며 적용하는 방법을 배운다.
크로마그로우를 이용하여 트랙에 grit과 따뜻한 느낌을 더한다.
06 - Mixing with submixes and track stacks
드럼의 킥드럼, 스네어 드럼 소리만 바꾸고 싶을 때
드럼 트랙은 현재 선셋 킷이다. 프로듀서 킷, 선셋 킷+를 적용한다.
트랙에 역삼각형이 생긴다. 열어보면 개별 서브 트랙이 열린다.
믹서 창을 열고 킥 in, out 페이더를 조금 올린다.
각 트랙별로 플러그인을 적용할 수도 있다.
3개 트랙을 선택하고 트랙 스택 만들기 실행. 폴더 스택 옵션 선택.
역삼각형을 열어보면 3개의 트랙이 존재한다.
믹서창을 열어보면 3개의 트랙을 하나로 묶은 오디오 믹서가 하나 더 생겼고
3개 트랙의 페이더 등 값은 다 같이 움직인다.
summing stack으로 만들면 유일한 차이점은 마스터 트랙이 트랙전체 공간을 차지한다는 점이다.
위의 기능들을 통해서 보컬 30명이나 되는 프로젝트의 경우 묶어서 효율적으로 믹스가 가능하다.
07 - Spatialize with reverb and delay
두 개 이상의 트랙에 하나의 리버브를 적용하고 싶을 때
트랙을 선택하고 sends - Bus - Bus1 선택
보조트랙으로 새로운 믹서가 생긴다.
보조 트랙 이름을 reverb로 변경하고 크로마버브 플러그인을 추가한다.
보컬홀 프리넷을 적용한다.
Wet 값이 100%로 되어있다. 전체 reverb라는 의미이다.
이는 (sends 설정한) 메인트랙에서 100% dry 신호를 보내기 때문이다. 메인트랙에서 보내는 값을 조정하면 wet값도 조정된다.
메인트랙에서 sends 값을 올리면 리버브가 적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두 번째 트랙을 선택, BUS1로 보낸다.
두 개의 트랙의 sends값을 각각 조절하여 리버브 값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프리페이더와 포스트페이더
**믹싱에서 프리 페이더(Pre-Fader)와 포스트 페이더(Post-Fader)**는 오디오 신호가 페이더(볼륨 조절기)를 통과하기 전과 후의 신호 경로를 의미합니다. 이 두 가지 설정은 믹싱 콘솔이나 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DAW)에서 신호를 어떻게 라우팅 하고 제어할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아래에서 프리 페이더와 포스트 페이더의 개념, 차이점, 사용 사례 등을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1. 프리 페이더(Pre-Fader)란?
- 정의: 신호가 페이더를 통과하기 전에 보내지는 신호 경로를 말합니다.
- 신호 흐름: 입력 신호 → 프리 페이더 신호 경로 → 외부 장치(예: 모니터, 헤드폰, 이펙트 등) → 페이더 → 믹스 버스
- 특징:
2. 포스트 페이더(Post-Fader)란?
- 정의: 신호가 페이더를 통과한 후에 보내지는 신호 경로를 말합니다.
- 신호 흐름: 입력 신호 → 페이더 → 포스트 페이더 신호 경로 → 외부 장치(예: 이펙트, 녹음 장치 등) → 믹스 버스
- 특징:
3. 프리 페이더와 포스트 페이더의 주요 차이점
특징 | 프리 페이더(Pre-Fader) | 포스트 페이더(Post-Fader) |
신호 경로 | 페이더 이전 | 페이더 이후 |
볼륨 조절 영향 | 외부 장치에 영향 없음 | 외부 장치에 직접적인 영향 |
주요 사용처 | 모니터 믹스, 헤드폰 믹스 | 이펙트 sends, 녹음 sends |
장점 | 모니터 볼륨을 독립적으로 조절 가능 | 이펙트 레벨과 트랙 볼륨을 동시에 조절 가능 |
단점 | 외부 장치의 신호 레벨이 페이더에 의해 조절되지 않음 | 트랙 볼륨 조절 시 이펙트 레벨도 함께 변동 |
4. 사용 사례 및 예시
프리 페이더 사용 사례: 모니터링
- 상황: 녹음 중인 아티스트가 자신의 목소리를 헤드폰으로 모니터링할 때.
- 설정: 보컬 트랙의 모니터 send를 프리 페이더로 설정.
- 효과: 엔지니어가 헤드폰 믹스의 볼륨을 조절해도 보컬 트랙의 페이더 설정과 독립적으로 모니터링 볼륨이 유지됩니다.
포스트 페이더 사용 사례: 이펙트 적용
- 상황: 기타 트랙에 리버브 이펙트를 추가할 때.
- 설정: 기타 트랙의 리버브 send를 포스트 페이더로 설정.
- 효과: 기타 트랙의 볼륨을 조절하면 리버브의 양도 함께 조절되어, 믹스 내에서 이펙트가 자연스럽게 어우러집니다.
5. 실제 설정 예시
DAW에서의 설정 (예: Pro Tools, Logic Pro, Ableton Live)
- 프리 페이더 설정:
- 포스트 페이더 설정:
6. 추가 팁
- 헤드폰 믹스: 녹음 중인 아티스트에게 최적의 모니터링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프리 페이더 send를 사용하세요. 이는 믹스 볼륨과 독립적으로 헤드폰 믹스를 조절할 수 있게 해 줍니다.
- 이펙트 밸런스: 포스트 페이더 send를 사용하여 트랙 볼륨과 이펙트 레벨을 함께 조절함으로써, 믹스 내에서 이펙트가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도록 합니다.
- 자동화: 포스트 페이더 send를 사용할 때는 트랙 볼륨의 자동화를 통해 이펙트 레벨도 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결론
프리 페이더와 포스트 페이더는 믹싱에서 신호를 어떻게 라우팅 하고 제어할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설정입니다. 각각의 설정은 특정 상황에서 최적의 결과를 제공하므로, 프로젝트의 필요에 따라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프리 페이더는 모니터링과 같은 독립적인 신호 제어에, 포스트 페이더는 이펙트 적용과 같이 트랙과 이펙트를 함께 조절해야 하는 경우에 유용합니다. 믹싱 과정에서 이 두 가지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고 적절히 적용하면, 보다 효과적이고 전문적인 사운드 결과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기본은 포스트페이더, 포스트 팬 설정이 되어 있다.
프리페이더 설정. 메인트랙의 페이더 값이 0 설정을 하더라도 일정한 볼륨으로 sends로 보낸다. 원소스의 소리는 안 들리지만 리버브 소리는 들린다.
포스트페이더 설정. 메인트랙 값이 0이면 센즈 리버브로 보내지는 볼륨도 0, 원소스, 리버브 소리 둘 다 들린 지 않는다.
08 - Reverbing with ChromaVerb
크로마버브를 이용한 리버브 적용하기
채널 스트립에 채널 EQ 밑에 크로마 리버브를 추가한다.
바이패스 스위치이다. off 시 크로마리버브 적용을 받지 않는다.
기본 room 모델이다.
dry 사운드에서 좀 wet 한 소리로 변경되고 시각적으로 표현된다.
다른 모델로 손쉽게 변경이 가능하다.
필요하면 EQ값을 조절할 수 있고
방의 사이즈와 밀도(파티클의 수로 표현된다)를 조절 할 수 있다.
리버브 효과만 따로 듣고 싶다면 dry 0, wet 값을 70% 정도 조절해서 들어본다.
프리딜레이 값을 조절한다. 듣기 좋은 값을 지정한다.
디케이는 리버브 값이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지 결정하는 값이다. 큰방일수록 길고 작을수록 짧다.
디스턴스는 소리가 멀리 있는 것처럼 작으면 좁은 방처럼 들린다.
디테일 버튼을 클릭하면 창이 바뀐다.
변조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이다.
mod depth를 올리면 거친 소리가 난다.
early/late 리플렉션 값은 소리가 귀에 도달하기 전에 여러 가상벽에 튕겨지는 정도를 결정한다.
width는 스테레오의 넓이 값이다.
mono maker는 지정한 값보다 낮은 값의 소리들은 모노로 변경된다.
아웃풋 EQ를 on 하면 바로 밑에 아이콘 클릭으로 EQ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09 - Working with ChromaGlow
트랙에 그릿과 따뜻한 느낌 더하기
(그릿을 투지, 기개, 한계까지 몰아붙이는 힘이라고 하는데 정확한 의미를 모르겠음)
베이스 트랙 선택 - 채널 스트립 - 플로그인 가장 아래에 크로마글로우 추가
크로마 글로브 창이 팝업 되고 먼저 적용 모델을 정한다.
드라이브 값을 조절해서 얼마나 많은 saturation 값을 줄 건지 결정한다.
값을 100주고 모델을 변경해서 소리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해 본다.
스타일을 컬러풀로 하면 조금 흐릿한 느낌을 준다.
바이패스에서 지정한 주파수 이하는 크로마글로우 영향을 받지 않게 한다.
바이패스 값은 목소리, 키보드, 기타 같은 경우 적용 시 큰 변화가 나타날 것이다.
MIX는 혼합값으로 어느 정도 원소스와 크로마글로우를 합치는지 결정한다.
로우컷은 저음을 제거
하이컷은 고음을 제거한다.
pre, post는 saturation 전, 후를 의미한다.
'Apple Silicon Mac > Logic Pro 11 기초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직 프로 기초강의(11.0.6) - 13. 내보내기와 공유하기(마지막 장) (0) | 2024.10.01 |
---|---|
로직 프로 기초강의(11.0.6) - 12. 믹싱과 마스터링 3/3 (0) | 2024.10.01 |
로직 프로 기초강의(11.0.6) - 12. 믹싱과 마스터링 1/3 (0) | 2024.10.01 |
로직 프로 기초강의(11.0.6) - 11. 공간 오디오 작업(돌비 애트모스, 서라운드) (0) | 2024.10.01 |
로직 프로 기초강의(11.0.6) - 10. 영상과 함께 작업하기 (0) | 2024.10.01 |
로직 프로 기초강의(11.0.6) - 9. 오선지를 이용한 작업 (0) | 2024.10.01 |
로직 프로 기초강의(11.0.6) - 8. 오디오 편집과 어레인지 2/2 (0) | 2024.10.01 |
로직 프로 기초강의(11.0.6) - 8. 오디오 편집과 어레인지 1/2 (0) | 2024.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