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강의는 Linkedin learning의 Logic Pro Essential Training를 요약하였다.
영어+번역기로 용어사용이 일관되지 않거나 틀린 경우와 내용을 잘못 이해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로직의 기본화면의 구성과 표시방법을 배운다.
스크린(작업 공간 사용자화) 사용법을 배운다.

01 - Exploring Logic's Main Window

로직 구성화면 둘러보기

트랙 영역으로 실질적인 작업 내용이 표시되는 공간이다.

타임 라인 형식으로 수평으로 배치된다.

타임 라인은 개별적인 차선과 같다.

 

색이 2종류로 미디의 경우 녹색, 오디오의 경우 파란색으로 표시된다.

 

트랙 영역 단축키

space - 플레이

return - 처음으로 플레이 헤드 이동

cmd + up, down - 수직으로 확대 축소

cmd + left, right - 수평으로 확대 축소

 

인스펙터 창 둘러보기

인스펙터 창 표시/숨기기(I)

선택한 트랙에 맞춰 인스펙터 정보가 갱신된다.

region 인스펙터, track 인스펙터, 채널 스트립으로 구성된다.

채널 스트립은 두 개의 페이더가 보이는데

왼쪽 페이더는 선택 트랙(악기)의 음량을 조절하고(낮추면 해당 트랙의 악기 소리만 사라진다.)

오른쪽 페이더는 전체 트랙의 음량을 조절한다. 즉, 0이면 음소거 상태이다.

 

파일 브라우저

파일 브라우저 창 열기/닫기(F)

프로젝트와 관련된 모든 파일을 보여준다.

 

루프 브라우저

애플의 로직프로가 제공하는 루프 목록이 보인다.

드래그 & 드롭으로 트랙에 루프를 적용할 수 있다.

 

노트 브라우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떠오르는 생각을 입력할 수 있는 공간이다.

 

목록 편집기

미디에 진행되는 이벤트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트랙의 미디영역을 선택하면 해당 미디영역 내의 이벤트 목록으로 브라우저 내용이 변경된다.

 

스마트 컨트롤 영역(좌상단 아이콘 첫 번째, B)

선택한 트랙 악기에 중요한 매개 변수 설정을 위한 창이 보인다.

 

채널 믹스(좌상단 아이콘 두 번째, X)

트랙의 믹서들이 하단에 표시된다.

 

(오디오) 편집기(좌상단 아이콘 세 번째, E)

미디 영역을 선택하여 오디오를 편집할 수 있다.

미디 트랙이면 건반형태, 오디오 트랙이면 파형으로 나타난다.

 

02 - Using the many windows of Logic

개별 윈도 편집기 열기

cmd + 2, cmd + w(닫기)

개별 윈도로 열리기 때문에 다른 모니터에 옮겨두고 작업이 가능하다.

cmd + 4

피아노 롤. 미디 영역의 경우만 표시되고 오디오 트랙의 정보는 표시되지 않는다.

cmd  + 6

오디오 리전 영역을 선택하고 단축키를 입력해야 창이 열린다.

더블클릭은 메인윈도의 부분으로 하단에 피아노롤(오디오 파일 편집)이 열리고

opt + click을 하면 새로운 창으로 열린다.

 

스크린(워크스페이스) 저장과 전환하기

현재 1번 스페이스를 lock 설정 - 설정하면 숫자 1 옆에 점이 생긴다.

윈도 화면 세팅을 하고

duplicate 실행 - 이름 설정

단축키 1, 2로 화면을 작업 화면 전환이 가능하다.

99번까지 저장이 가능하며 10번이 넘어갈 때는 ctrl + 숫자 입력으로 전환한다.

강의는 Linkedin learning Logic Pro Essential Training 요약하였다.
영어+번역기로 용어사용이 일관되지 않거나 틀린 경우와 내용을 잘못 이해한 경우가 있을 있다.

 

04 - Connecting audio interfaces

외부 오디오 인터페이스 설정하기

맥의 환경 설정에서 오디오 미디 설정을 연다

맥 내장 사운드 카드가 가장 위에 있고 화면에는 fireface UCX 외부 오디오 인터페이스가 나타난다(강의자의 맥 연결 구성이다)

연결된 오디오 인터페이스가 없으면 당연히 나타나지 않는다.

로직으로 돌아와서

로직 환경설정 - audio에서 core audio 체크

output device, input device를 외부 오디오 인터페이스로 설정한다. 여기서는 fireface UCX 장치로 설정하였다.

 

05 - Understanding MIDI interfaces

미디 인터페이스 이해

미디 장치는 로직으로 미디 정보를 전송한다.

전통적으로 키보드 형태이지만 드럼패드 형태 등 다양한 형태를 띤다.

두 번째 미디 인터페이스 : 컨트롤

로직의 재생 시스템을 제어하는 역할을 맡는다.

세 번째 미디 제어 장치

렉에 거치되는 형태이다.

로직에서 장치로 미디 정보를 보내어 스튜디오에서 소리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외부 미디 장치와 연결 설정확인

맥 환경설정 - 오디오 Midi 설정 -상단에 window 메뉴 클릭 - midi 스튜디오 보기

맥과 연결된 미디 장치들의 연결 관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창이 뜬다.

MIDI 설정 테스트 아이콘을 클릭한 후 (연결된 키보드가 있을 경우) 키보드 입력 테스트하면 입출력이 점멸로 표시된다.

 

미디장치가 맥에 연결 됐지만 로직에 표시되지 않을 때

로직 환경설정 - midi탭 - reset all midi drivers을 click

미디드라이버를 초기화해본다.

inputs탭에 에서 연결된 장치의 표시 여부를 확인한다.

컨트롤 서비스 - 셋업

필요한 장치가 없을 경우 scan all models 실행한다(그림참고)

마지막으로 수동으로 장치를 추가할 수 있다.

 

외부 미디 장치 없이 타이핑 키보드를 이용하는 방법

타이핑 키보드 윈도 불러오기(cmd + k)

일반 쿼티 키보드를 이용하여 미디정보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06 - Getting to know Logic settings

로직 초기 설정하기

로직 환경 설정 - 일반

로직앱을 실행했을 때 최근 프로젝트, 새 프로젝트 열기 등을 설정한다. 기호에 맞게 설정한다.

강의자는 Do nothing을 설정(이 설정은 로직이 백그라운드 실행되는 것처럼 어떤 창도 띄우지 않는다.)

 

프로젝트 설정하기

프로젝트 설정 - 일반

메트로놈, 애트 돌비모스 같은 공간 사운드 설정, 샘플 설정 등을 여기서 할 수 있다.

이후 강의 과정에서 필요한 설정을 살펴본다.

이 강의는 Linkedin learning의 Logic Pro Essential Training를 요약하였다.
영어+번역기로 용어사용이 일관되지 않거나 틀린 경우와 내용을 잘못 이해한 경우가 있을 수 있음을 미리 밝힌다. 

01 - Downloadable content and user level

심플 모드와 고급 모드 선택

심플모드는 개러지밴드와 유사하다. 우리는 로직 프로를 배우기 위한 과정이기 때문에 고급 모드를 체크한다.

강의에서는 더 깊은 내용을 다루기 때문에 어드밴스툴 모드를 체크한다.(처음에 쉬운 사용자 모드를 선택한 경우)

설치가능한 사운드 라이브러리 설치

프로젝트 작업에 필요한 사운드 라이브러리를 다운로드한다. 무료로 고퀄리티의 사운드 라이브러리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 로직의 큰 장점이다.

용량의 압박이 크기 때문에 외부 저장장치를 지정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02 - Launching Logic with templates

로직 첫 화면

로직을 켜면 대화창으로 구성된다.

몇가지 선택할 수 있는 음악 장르가 있고 그 스타일에 맞는 악기 세팅이 준비되어 있다.


03 - Exploring track types

트랙 생성과 추가하기

새 프로젝트를 선택하면

트랙의 타입을 지정하는 화면으로 연결된다.

먼저 미디 기반의 트랙 타입을 선택하고 소프트웨어 instrument - open library를 체크한 후 생성한다.

트랙 화면에 + 버튼으로 새로운 트랙 생성

이 대화창을 통해서 프로젝트 내에 여러 타입의 트랙을 추가 할 수 있다.

그림의 설정을 프로젝트를 위한 기본 설정으로 잡는다.

툴박스 연필도구로 미디 영역 생성하기

툴 박스 열기(T)

툴 박스에서 연필을 선택한다


연필 툴을 이용해서 click(또는 드랙그)하면 미디영역이 생성된다.

미디 영역에서 어떤 음표를 연주하고 언제 연주해야하는지를 지정하는 미디 이벤트가 작성된다.

프로젝트를 만들때 외부 미디를 선택한 경우

사운드 라이브러리에 악기가 나타나지 않는다.

외부 미디 사운드 장치의 입력을 통해서 미디 이벤트가 생성된다.


오디오로 트랙 생성을 할 경우

트랙 추가는 트랙헤더 영역 위에 트랙 추가 버튼(+모양, opt+cmd+n)을 클릭한다.

생성하는 방법(마이크 라인과 기타, 베이스 두 종류)

이 트랙에서 키보드, 마이크 또는 일렉 기타 입력을 할 수 있다.

기타 베이스의 경우 트랙을 선택하고 옆에 채널 스트립을 살펴보면

앰프, 페달보드 같은 플러그인 들이 초기 세팅 되어 있다.

 

세션 플레이어 타입으로 미디 생성

로직프로의 특이한 트랙으로

연주자의 특성 지정하고 변경하여 트랙을 꾸밀 수 있다.

드럼 예시

 

패턴 기반 트랙

똑같이 이번에 패턴 트랙을 생성해 본다.

밑에 스텝 시퀀서 에디터에서 간단한 클릭 만으로 패턴을 만들고 그루브를 만들 수 있다.

 

자신만의 템플릿 저장하기

자주 사용하는 트랙 구성을 템플릿으로 저장해서 활용한다.

템플릿 저장 click

마이 템플릿에서 저장한 템플릿 선택이 가능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