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Sever(B) 설치와 준비
3. 1 설치
CLI 로 운영하기 때문에 설정이 조금 차이 있다.
영어를 선택한다.
software selection에서 minimal install 선택 - Done
저장소 설정은 서버를 참고한다.
책에서 swap 용량을 4GiB 로 잡았기 때문에 / 가 16.41GiB에서 2Gib를 줄이고 Swap을 4Gib로 변경하였다.
루트 설정. ssh 허용 체크 주의
사용자 생성도 같다.
설치 시작
3. 2 로그인하기
dnf -y install nano bind-utils net-tools wget unzip bzip2
dnf 를 이용해서 소프트웨어를 설치할때 최신 버전이 아닌, Rocky Linux9를 설치했을 당시의 버전이 설치되도록 설정을 변경하였다.
complete 메시지로 정상설치되었다.
책과 같이 repo를 변경하면 설치 관련 크고작은 문제가 발생하므로
초기 설정 그대로 남겨두는게 낫다고 생각한다.
cd /etc/yum.repos.d/
rm -f *.repo
ls
wget http://download.hanbit.co.kr/rocky/9/This.repo
ls
디렉토리 이동 - *.repo 파일 삭제 - 파일목록 출력 - 한빛 출판사 웹페이지에서 This.repo 다운로드 설치 - 파일목록 출력
-------------------추가-----------------------
nano /etc/yum.repos.d/This.repo
책은 윈도우 기준이기 때문에 repo 주소가 x86_64 이다. 당연히 애플 실리콘에서는 패키지가 설치가 되지 않고 충돌 메시지만 출력된다.
baseurl을 aarch64에 맞게 변경해야한다.
dnf clean all
기존의 저장소 기록 삭제
3.3 IP 주소 변경
IP주소를 192.168.111.200 으로 변경한다. (나는 auto로 놔둘 생각이지만 참고를 위해 책 내용을 적어둔다)
cd /etc/NetworkManager/system-connections/
ls
nano ens160.nmconnection
디렉토리로 이동 - 파일목록 출력 - 파일 편집
[ipv4]
method=manual
address1=192.168.111.200/24, 192.168.111.2
dns=192.168.111.2
마침표와 쉼표 구분에 유의할것.
ipv4부분을 수정한다.
ctrl+x 후 y, enter 를 차례대로 눌러서 파일 저장하고 nano 에디터를 종료
nmcli connection down ens160
nmcli connection up ens160
reboot
네트워크 장치 중지 - 장치 시작 - 재부팅
부팅이 끝나면 루트 계정으로 로그인
ping -c 5 www.google.com
명령으로 인터넷 접속이 잘되는지 확인
3.4 학습을 위한 방화벽 보안 기능 해제 설정
grubby --update-kernel ALL --args selinux=0
sestatus
reboot
sestatus
selinux 기능 off
sestatus 확인하면 리부팅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변경되지 않았다. 리부트 한다.
3.4 해상도 변경
nano /etc/default/grub
끝에 vga=771 추가해서 800x600 해상도 설정
ctrl+x, y, enter 차례로 눌러서 저장
grub2-mkconfig -o /boot/grub2/grub.cfg
reboot
설정한 내용을 적용 후 재부팅
해상도가 변경되었으면
halt -p
종료
3.5 DVD 제거와 메모리 크기 조정과 스냅샷
server(B)가 셧다운된 상태에서 vmware 라이브러리에서 설정을 클릭
CD/DVD - 고급옵션 - 드라이브 제거 - remove
책에서는 제거했지만 그냥 놔뒀다.
메모리와 프로세서 할당을 변경한다.
메모리가 여유가 있다면 2048mb 여유가 없다면 server(B) 는 512mb 로 변경한다.
스냅샷도 역시 만들어 둔다.
4. Clinet 설치
4.1 설치 차이점
고정 IP아닌 동적IP를 사용한다.
자동 설정으로 디스크 파티션 설정.
root 계정이 아니라 일반 사용자로 접속해서 가상머신을 사용한다.
루트계정 비번을 설정할때 SSH 체크로 잊지 않는다.
설치 목적지에서 자동 설정이다.
그외 한글설정, 루트 비밀번호, 사용자생성, 소프트웨어 선택은 client 설치를 참고한다.
4.2 사용자 계정 생성
책은 새로운 사용자를 생성하지만 나는 이미 만들어진 상태이다. 그래서 생략
루트 계정으로 로그인한다.
4.3 업데이트 기능 off, repo 설정
root 계정으로 로그인
터미널에서
gsettings set org.gnome.software download-updates false
systemctl disable dnf-makecache.service
systemctl disable dnf-makecache.timer
업데이트 기능 끄기
cd /etc/yum.repos.d
rm -f *.repo
wget http://download.hanbit.co.kr/rocky/9/This.repo
ls
dnf clean all
exit
디렉터리 이동 - 파일삭제 - This.repo 파일 다운로드 - 파일 목록 출력 - 기존 저장소 기록 삭제 -터미널 종료
-------------------추가-----------------------
nano /etc/yum.repos.d/This.repo
책은 윈도우 기준이기 때문에 repo 주소가 x86_64 이다. 당연히 애플 실리콘에서는 패키지가 설치가 되지 않고 충돌 메시지만 출력된다.
baseurl 끝이 /aarch64/os/ 로 모두 변경한다. 3번 모두 같은 내용이다.
4.4 한글 설정
키보드에서 영어(미국) 추가, 한국어 삭제, 한국어(Hangul) 추가
4.5 해상도 변경
터미널에서
gedit /etc/default/grub
6행에 끝에 vga=773 추가
1024해상도로 지정
grub2-mkconfig -o /boot/grub2/grub.cfg
reboot
설정 적용 후 재부팅
4.6 그놈 자동 업데이트 끄기
루트사용자로 접속
설정 - 정보 -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 상단 메뉴 버튼 - 업데이트 기본설정 - 모든 항목 비활성화
4.7 클라언트 가상머신에 root 로그인 막기
터미널에서 gedit을 실행
gedit /etc/pam.d/gdm-password
5행에 추가
auth required pam_succeed_if.so user != root quiet
에딧 저장 후 닫기
여기서 띄어쓰기 좀 틀려도 상관없다.
하지만 한글자라도 틀리면 어떤 계정도 로그인 할 수 없게 된다.
한글자 틀리는 바람에 재설치 할수 밖에 없었다. 쳇GPT가 부트로더에 명령어를 추가해서 부팅 도중에 잠시 중단시키고 쉘을 열어서 수정할수 있는 방법을 알려줬지만 제대로 되지 않았다.
reboot
재부팅
root 계정 접속시 출력 메시지이다. 로그인 되지 않는다.
4.8 화면잠금 설정 변경
설정 - 개인정보 - 화면잠금 - 모두 off
4.9 배경 바꾸기
설정 - 배경 - 배경 선택
4.10 사용자 자동 로그인 설정
보안 상 서버용 리눅스에는 자동 로그인 기능을 설정하지 않는것이 좋다.
터미널에서
su
비밀 번호 입력
gedit /etc/gdm/custom.conf
gedit 실행
오류 메시지는 무시해도 좋다.
AutomaticLoginEnable=True
AutomaticLogin=devport
[daemon] 아래에 내용을 추가한다.
재부팅하면 다른 설정없이 바로 로그인 되는것을 확인할수 있다.
devport는 내가 만든 유저사용자 name이다. 그러니까 사람마다 입력내용이 다르다.
4.11 DVD 장치 제거와 스냅샷 남겨두기
앞에 과정과 똑같다.
'이것이 리눅스다 따라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 이것이 리눅스다 공부하기 - 표준시간대 변경, cron, at 예약 명령지정 (0) | 2024.03.23 |
---|---|
10. 이것이 리눅스다 공부하기 - 파일 압축과 묶기, 파일 위치 검색 (0) | 2024.03.23 |
09. 이것이 리눅스다 공부하기 - 리눅스 관리자를 위한 명령어 (0) | 2024.03.23 |
07. 이것이 리눅스다 공부하기 -사용자 관리와 파일 속성 (0) | 2024.03.22 |
06. 이것이 리눅스다 공부하기 - 리눅스 기본 명령 (0) | 2024.03.22 |
05. 이것이 리눅스다 공부하기 - 리눅스 운영에 필요한 기본개념 정리 (0) | 2024.03.22 |
02. 이것이 리눅스다 공부하기 - 가상환경에 운영체제 설치하기 (4) | 2024.03.22 |
01. 이것이 리눅스다 공부하기 설치파일 다운로드하기 (0) | 2024.03.21 |